대역폭은 단위 시간당 데이터의 전송량을 의미하며 초당 프레임 개수, 프레임 해상도, 픽셀당 비트 개수를 곱하여 얻는다.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영상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최소 초당 15프레임 이상이어야 한다.
대역폭이 클수록 양질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프레임 데이터 크기 = 해상도 X 픽셀당 비트수
대역폭 = 프레임 데이터 크기 X 초당 프레임 개수
비디오 데이터 크기 = 대역폭 X 재생시간
4K UHD (약 4000 X 2000, 60fps, 30비트 컬러(10bitX3)) 영화 2시간 상영을 위해서 필요한 비디오 데이터의 크기는? 4000 X 2000 pixels X 30 bit/8 = 30,000,000 Byte = 30,000 KB = 30 MB 30 MB X 60fps = 1800 MB = 1.8 GB 1.8 GB X 60 sec = 108 GB 108 GB X 60 Min = 6,480 GB = 6.48 TB 6.48 TB X 2 시간 = 12.96 TB
압축하지 않으면 데이터가 너무 크기 때문에 비디오는 압축을 적용하는게 필수.
압축을 사용하면 동일한 네트워크 bandwidth에서 훨씬 많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비용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
비디오 인코딩 = 압축하여 데이터를 줄이는 과정
비디오 디코딩 = 비디오를 재생하기 위해서 압축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는것
Codec = encoder + decoder
비디오 코덱의 종류: MPEG, AVC, HEVC, VVC 등.
이미지는 pixel로 구성됨. 픽셀 하나는 rgb서브픽셀로 구성됨
bitmap = 전체영상의 pixel의 2차원 배열
image resolution = 디지털 영상에서의 pixel개수, 해상도. 높은 해상도는 항상 좋은 화질을 가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