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 데이터 모델에서 연산은 원하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 릴레이션에 필요한 처리 요구를 수행하는 것
데이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데이터 언어의 역할
관계 대수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 / 절차 언어
관계 해석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처리를 원하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만 기술 / 비절차 언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과 처리를 요구하는 표현력에서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은 능력이 동등
데이터에 대한 처리 요구를 일반적으로 질의(query)라고 한다.
관계 대수와 관계 해석을 공부하는 이유
새로운 데이터 언어가 제안되면 데이터 언어의 유용성 검증의 기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데이터의 처리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 (연산자들의 집합)
피연산자가 릴레이션, 즉 관계 대수는 릴레이션을 연산함
폐쇄 특성(closure property) - 릴레이션에 연산자를 적용해 얻은 결과도 릴레이션
대표적인 연산자 8개 존재하며 일반 집합 연산자, 순수 관계 연산자로 구분
피연산자가 2개가 필요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은 2개의 릴레이션이 합병 가능 해야 함 (카티션 프로덕트는 예외)
릴레이션 합병 가능
- 두 릴레이션의 차수가 같다
- 서로 대응되는 속성의 도메인이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