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적 데이터 모델 중 가장 인기 있는 모델하나의 개체에 관한 데이터를 릴레이션 하나에 담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계 데이터 모델의 기본 용어
속성
릴레이션의 열을 속성 또는 애트리뷰트(attribute)라고 부름각 속성은 서로 다른 이름을 이용해 구별
투플
릴레이션의 행을 투플(tuple)이라 부름
도메인
속성 하나가 가질 수 있는 모든 값의 집합을 해당 속성의 도메인(domain)이라고 함관계 데이터 모델에서는 속성 값으로 더는 분해할 수 없는 원자 값만 사용(도메인은 특정 속성이 가질 수 있는 모든 원자 값의 모임)
도메인을 정의해두면 사용자가 속성 값을 입력하거나 수정할 때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적합성을 판단하여 해당 값 이외의 값은 허용하지 않음으로써 항상 올바른 값만 유지한다는 장점 존재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 타입과 변수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음ex) 데이터 타입을 도메인, 변수를 속성
널 값
릴레이션에 있는 특정 투플의 속성 값을 모르거나, 적합한 값이 없는 경우에는 널(null)이라는 특별한 값을 사용할 수 있음널 값은 특정 속성에 해당되는 값이 없음을 나타냄으로 숫자 0이나 공백 문자와는 다름
차수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속성의 전체 개수를 릴레이션의 차수(degree)라고 함모든 릴레이션은 최소 1 이상의 차수를 유지해야 함릴레이션의 차수는 일반적으로 자주 변하지 않는다는 정적인 특징을 지님
카디널리티
하나의 릴레이션에서 투플의 전체 개수를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cardinality)라고 함투플이 없는 릴레이션이 존재할 수도 있고, 새로운 투플이 삽입되거나 기존의 투플이 삭제될 수 있으므로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는 일반적으로 자주 변한다는 동적인 특징을 지님
릴레이션은 파일 관리 시스템에서의 파일, 속성은 해당 파일의 필드, 투플은 개체의 인스턴스이며 레코드에 대응하는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