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속성들의 부분 집합을 X와 Y라 할 때, 어느 시점에서든 릴레이션 내의 모든 투플에서 하나의 X의 값에 대한 Y의 값이 항상 하나면
X -> Y (X는 결정자, Y는 종속자)
'X가 Y를 함수적으로 결정한다' 또는 'Y가 X에 함수적으로 종속되어 있다' 라고 함
함수 종속 관계는 현재 시점에 릴레이션에 포함된 속성 값만으로 판단하면 안 된다는 것을 유의해야 함
릴레이션에서 속성 값은 계속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속성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의미를 기반으로 판단해야 함
릴레이션이 정규화된 정도는 정규형(Normal Form)으로 표현
정규형은 크게 기본 정규형과 고급 정규형으로 나뉨
각 정규형마다 만족시켜야 하는 제약조건이 존재
릴레이션이 특정 정규형의 제약조건을 만족하면 릴레이션이 해당 정규형에 속한다고 표현
정규형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요구되는 제약조건이 많아지고 엄격해짐
일반적으로 차수가 높은 정규형에 속하는 릴레이션일수록 바람직한 릴레이션이나, 모든 릴레이션이 제5정규형에 속해야 되는 것은 아니기에 릴레이션의 특성을 고려해서 적합한 정규형을 선택
릴레이션에 속한 모든 속성의 도메인이 원자 값으로만 구성되어 있어야 함
최소한 제1정규형을 만족해야 관계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이 될 자격이 있음
삽입 이상, 갱신 이상, 삭제 이상 발생
릴레이션이 부분 함수 종속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