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는 컨테이너이미지 만드는데 주로 쓰고있고

컨테이너 이미지 실행하는 단계는 쿠버네티스쪽에서 하는데

반드시 다수의 컴퓨터위에서 띄우려면 쿠버네티스가 필수인가? 그렇진않음

cpu코어가 수천개가 되면 kubernetes

cpu코어가 천개 넘어가는 회사는 그렇게 많지 않음

그래서 쿠버네티스는 1억개 정도도 하는데

도커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듦과 동시에 쿠버네티스의 역할 cpu disk network물리적 자원 가상화해서 필요한만큼을 띄우는 역할도 도커에서 제공한다

그게 docker swarm이다 ⇒ 고래들이 떼거지로 컨테이너 실행

도커도 multi cpu disk network묶어서 띄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docker swarm기능으로 200개정도 묶어서 상용서비스 돌리기도 한다

두개이상의 컴퓨터가 묶여서 논리적인 하나의 자원처럼 묶여서 컨테이너 실행 = docker swarm

두개이상의 컴퓨터를 묶는 방법 그리고 컨테이너 실행하는것 해보고 쿠버네티스로 넘어감

컨테이너의 원초적 장점 cpu 운영체제 독릷적으로 다운로드해서 실행하고 삭제할 수 있다

서버를 구축하고 cpu network 디스크자원 묶는게 아니라도 꽤 많이 사용된다

docker on Raspberry pi, kubernetes on Rbpi

굉장히 큰 서버에서만 돌아가는게 아니라 라즈베리 파이 위에서도 충분히 돌아간다

라즈베리 파이에 도커를 설치해서 컨테이너 실행

대형처리로만 쓰이는게 아니라 정말 작은 컴퓨터에서도 돌아갈 정도로 경량화되어있다. 라즈베리파이에 쿠버네티스 설치해서 클러스터 만드는 법 보여줌

세 대를 적층해놓고 쿠버네티스로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