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nd가 class라고 생각하고 그로부터 object가 만들어진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kubectl도 원격 전송 명령 restful api다. 쿠버네티스에 원하는것을 전달하기 위한것.
pod kind replicaset kind를 통해서 쿠버네티스가 object를 만들어준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object같은것처럼 생각하면 됨
차이점은 method를 만들수 없고 적은 기능을 지원하는것
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는 object = resource들은 뭐가 있을까?
kubectl api-resources
우리는 pod이랑 replicaSet, Node,Deployment정도
쿠버네티스에서는 yaml파일 안에 원하는 resource type기재하고 object생성
그걸 record of intent를 쓰는 행위라고 이야기한다.
desired state는 docker swarm에게 내리는 명령. 그것보다 높은 레벨 = record of intent. 의미가 없다 그러면 desired state와 다를바 없다고 할 수 있는데
서버가 용량 넘어선다던지 네트워크가 죽는다던지 하면 event들이 쌓이고 터미널 원격접속해서 타이핑하고 하는데 이것도 데이터이고 명시적으로 쓰는게 아니고
나는 이러한 행위가 이루어졌으면 좋겠어라고 했을때 그 행위를 하기 위해서 인간들이 했었던 명령들이나 하면 좋을 작업들을 자동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것들을 record or intent 데이터드리븐 ai를 쓴다.
record of intent를 우아하게 얘기하면 인간이 했떤 행위들을 기반으로 장애같은 것 대응같이 생산적인 일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장애발생시에 루틴하게 사람들 타이핑한것 있는데 새로운 서비스는??
고객중에 해당하는 리스트 추출, 프로모션 코드 발송을 한다고 하면
서비스 개발하는 사람은 이런것들을 모아서 한줄한줄 쓰면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프로그램은 굳이 프로그래밍 언어가 아니어도 된다. 생성형 ai에 해달라고 하면 자동으로 만들수 있다. 노코드
구현된 하부구조와 independent 비지니스 레이어에서 제공하는 api
함수의 level이 다르다. 하부구조를 몰라도 호출할 수 있다.
DDD 데이터 드리븐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