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cluster service

desired state management

worker = container host kublet실행

매니저 위치에 해당하는 애가 있고 worker에 해당하는 애가 있고

yaml 파일 사용해서 매니저를 통해서컨테이너들을 실행

차이가 있는건 worker에 있는 kublet 매니저에 연결된다

도커스웜에서는 docker engine을 설치했는데 하나를 매니저라고 하고

쿠버네티스는 주종관계가 확실함. worker는 kublet이라는 agent프로그램 설치되고 join leave동작을 한다.

yaml파일이 있기는 한데 container감싸는 pod이라는게 존재

docker cli를 쓰지 않음

pod을 2개 만들어서 pod1안에 있는거랑 pod2안에 있는것끼리 대화하도록

worker kublet경량화

api호출 동일한데 굳이 강조하지 않고

yaml파일 서비스 동일한데 pod단위로 한다

가장 극단적으로 다른건 load balancing은 같지만 desired state가 있다

가장 극적으로 다른건 docker swarm은 도커에게 명령을 내린다 쿠버네티스는

cicd에 기반한 인간을 대체하는 기능을 원했기 때문에 desired state 서비스 운영하기 원하는 사람이 쿠버네티스에게 희망의사를 밝힘 희망하는 바에 대해서 쿠버네티스에게 의사표명 부탁하면 쿠버네티스가 부탁을 받아서

docker swarm에서 노드 죽이면 죽는다 그냥

쿠버네티스는 희망하는 상태에 따라서 쿠버네티스가 부합하도록 다른 worker로 옮겨준다. 희망한 상태를 맞추기 위해서 쿠버네티스가 직접 개입

그런 작업들이 미리 짜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