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address안쓴다 라벨을 쓴다

컨트롤러 desired state작성하는게 인간의 몫

쿠버네티스 안에 잇는 컨트롤러들이 처리한다

pod이란? 하나의 단지 안에 담겨서 움직이는 컨테이너들과 storage 등

라벨 - yaml파일도 label이다 key와 value

spec: 내가 실행시킬 pod의 spec

pod의 이름은 = metadata

쿠버네티스의 pod은 c++의 클래스와 굉장히 비슷함

pod으로 만들어지는것들을 object라고 한다. kind = class

kind: pod 클래스가 pod이다

spec은 pod안에 뭐가 돌아갈거냐

apiVersion은 쿠버네티스가 서버끼리 호출해가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api버전이 있다.

라벨: 내가 특정 컨테이너나 pod을 묶어서 용도 등 지정

특정 노드들을 묶어서 어떤 용도로 쓸지

운영을하는거다 실제 쿠버네티스에서 운영하려면 장애가 발생하고 죽고 살고 한다

프로그램 실행되면 끝나니까 mortal하다고 할수도 있지만 그거외에도 장애발생해서 죽는다 어디서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물리적인 정보를 가지고 pod을 구분하면 안됨 그래서 label을 쓴다. 살아있을수도 있고 죽을수도 있는거고 새로 실행해도 같은 pod이 아니다.

앞에있는 서비스가 뒤에있는 pod을 식별하기 위해서 label을 쓴다

동일한 yaml파일에서 만들어진거다 service는 요청왔을때 누구에게 줘야하지? label로 식별한다. ip는 죽고 살고하면서 바뀌니까. 3개에 로드밸런싱으로 준다

ReplicaSet

desired state에 의해 요청된 pod의 복제를 유지한다. replicaset control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