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공간트리(state space tree):
모든 가능한 상태(해답 후보)를 트리로 표현.
뿌리에서 잎 노드까지의 경로가 해답 후보를 나타냄.
DFS:
뿌리 노드에서 시작하여 가능한 한 깊게 내려간 뒤, 더 이상 진행할 수 없으면 이전 노드로 돌아가 탐색을 계속.
유망성(promising):
현재 노드가 해답의 일부가 될 가능성이 있으면 유망(promising), 그렇지 않으면 비유망(non-promising).
가지치기(pruning):
비유망한 노드에서 즉시 탐색을 중단하고 부모로 돌아감.
해답 가능성이 없는 부분공간을 검색하지 않음.
n × n 체스판에 n개의 여왕말(Queen)을 서로 잡아먹히지 않도록 배치.
한 행에 하나씩 Queen을 두면서,
같은 열/대각선에 있는지 검사(유망성 판단).